오늘은 마케터분들이 꼭 알아두면 좋은
심리 기법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직접 마케팅을 하시는 소규모 사업장의 사장님들께도
큰 도움이 될거라고 확신합니다.
광고 진행하고 돈 날리지 않는 핵심 기술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두가지 방식으로 사고를 합니다.
1. 감정적, 충동적, 직관적인 빠른 사고
2. 이성적, 논리적, 분석적인 느린 사고
첫 번째를 시스템1
두 번째를 시스템2라고 합니다.
아래 이미지처럼 이미 너무나도 유명한 개념인데요.

시스템 1 상태에서 구매를 하는게 '충동구매'입니다.
이 충동구매를 강제적으로 유발하는 매체가 바로
우리가 매일같이 접하는 인스타그램, 틱톡같은
SNS 매체입니다.
놀랄만한 사실을 하나 알려드릴까요?
이런 광고를 보고 구매한 소비자들이
추후 자신의 구매가 충동구매였다고 말한
비율이 무려 80%에 달한다고 합니다.
이를 아는 마케터들은 더 즉각적인
충동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타임세일이나, 시간제한등의 장치도 설계하죠
(예: 70% 할인, 여기가 가장 저렴해요.
오늘만 이가격, 내일부터는 50% 인상됩니다.)
시스템2는 그럼 어떨까요?
시스템 2를 활용해 사고를 하고 구매를 하는걸
'목적구매'라고 합니다.
주로 고가제품을 구매할 때
우리는 최대한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판단하려고 하죠.
병의원, 전문가 구인, 자동차, 부동산 등의
업종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 '목적구매'적 사고를 구매로 연결시키는 가장 좋은
광고도구가 바로 블로그 입니다.
그래서 블로그 포스팅에는 단순히 홍보내용이 담겨야 하는게 아니라,
고객이 이성적으로 보고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 정보를 주고
구매 시 고려해야 할 새로운 판단요인을 제시하며
자사의 서비스가 그 요인에서는 가장 우월하다는 방식으로 설득을 해야하죠.
마케터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는
이렇게 목적구매와 충동구매를 구분하지 않고
광고비를 흔히 말해 '대세라는 매체'에 무조건적으로 집행을 한다는 겁니다.
충동구매를 위한 매체와,
목적구매를 위한 매체는 분명히 달라야하는데 말이죠.
대략적으로 이를 표로 정리한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어서 글을 더 읽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해주세요.
https://blog.naver.com/eightmix/223803417334
오늘은 마케터분들이 꼭 알아두면 좋은
심리 기법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직접 마케팅을 하시는 소규모 사업장의 사장님들께도
큰 도움이 될거라고 확신합니다.
광고 진행하고 돈 날리지 않는 핵심 기술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두가지 방식으로 사고를 합니다.
1. 감정적, 충동적, 직관적인 빠른 사고
2. 이성적, 논리적, 분석적인 느린 사고
첫 번째를 시스템1
두 번째를 시스템2라고 합니다.
아래 이미지처럼 이미 너무나도 유명한 개념인데요.
시스템 1 상태에서 구매를 하는게 '충동구매'입니다.
이 충동구매를 강제적으로 유발하는 매체가 바로
우리가 매일같이 접하는 인스타그램, 틱톡같은
SNS 매체입니다.
놀랄만한 사실을 하나 알려드릴까요?
이런 광고를 보고 구매한 소비자들이
추후 자신의 구매가 충동구매였다고 말한
비율이 무려 80%에 달한다고 합니다.
이를 아는 마케터들은 더 즉각적인
충동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타임세일이나, 시간제한등의 장치도 설계하죠
(예: 70% 할인, 여기가 가장 저렴해요.
오늘만 이가격, 내일부터는 50% 인상됩니다.)
시스템2는 그럼 어떨까요?
시스템 2를 활용해 사고를 하고 구매를 하는걸
'목적구매'라고 합니다.
주로 고가제품을 구매할 때
우리는 최대한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판단하려고 하죠.
병의원, 전문가 구인, 자동차, 부동산 등의
업종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 '목적구매'적 사고를 구매로 연결시키는 가장 좋은
광고도구가 바로 블로그 입니다.
그래서 블로그 포스팅에는 단순히 홍보내용이 담겨야 하는게 아니라,
고객이 이성적으로 보고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 정보를 주고
구매 시 고려해야 할 새로운 판단요인을 제시하며
자사의 서비스가 그 요인에서는 가장 우월하다는 방식으로 설득을 해야하죠.
마케터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는
이렇게 목적구매와 충동구매를 구분하지 않고
광고비를 흔히 말해 '대세라는 매체'에 무조건적으로 집행을 한다는 겁니다.
충동구매를 위한 매체와,
목적구매를 위한 매체는 분명히 달라야하는데 말이죠.
대략적으로 이를 표로 정리한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어서 글을 더 읽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해주세요.
https://blog.naver.com/eightmix/223803417334